한국의 저출산 원인 및 년도별 인구 통계
본문 바로가기
지식 이야기

한국의 저출산 원인 및 년도별 인구 통계

by 쏘쏘한 하루 2023. 2. 21.

목차

    저출산

     

    한국의 인구 변화 연도별 통계

    • 1950년: 20,188,641명

    • 1960년: 25,582,450명

    • 1970년: 32,357,328명

    • 1980년: 40,466,577명

    • 1990년: 44,673,337명

    • 2000년: 47,874,000명

    • 2010년: 50,734,000명

    • 2015년: 51,225,308명

    • 2020년: 51,829,023명

    한국은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2000년대부터는 인구 증가율이 감소하였습니다. 현재는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로 인해 인구 증가율이 매우 낮아지고 있습니다.

     

     

     

    한국의 초혼연령도 같이 높아 지고 있습니다.

     

    • 1990년대: 20대 초중반

    • 2000년대: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

    • 2010년대: 30대 초중반에서 후반

    즉, 1990년대에는 대부분의 한국인이 20대 초중반에 결혼을 했지만, 2010년대에는 30대 초중반에서 후반에 결혼을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추세는 경제적 불안정, 교육 등의 이유로 인해 결혼을 늦추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따라 한국의 혼인율은 점차 감소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저출산 원인들
     
    한국은 출산율이 매우 낮아 세계에서 가장 낮은 나라 중 하나입니다. 현재 한 여성이 낳는 아이의 수는 0.84명으로, 2.1명 이상인 출산율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수준보다 훨씬 낮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여러 가지 요인에 기인합니다:
    1. 경제적 불안정:
      -한국의 많은 청년들은 어려운 일자리 시장과 안정적이고 높은 급여를 받는 일자리를 찾기 어렵습니다. 이는 가족을 꾸리기에 충분한 경제적 안정감을 느끼기 어렵게 만듭니다.

    2. 높은 생활비:
      -한국은 인구 밀도가 높은 나라로, 주거, 교육 및 보건 등 생활 비용이 매우 높습니다. 자녀를 키우는 데 드는 비용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일부 부부는 아이를 낳는 것에 주저할 수 있습니다.

    3. 결혼 및 가족에 대한 태도 변화:
      -한국의 많은 청년들은 자신의 직업과 개인적 목표에 집중하며, 전통적인 가족 역할에 덜 관심을 가집니다. 또한 싱글라이프를 수용하고 결혼을 미루는 추세가 있어 가족을 꾸리는 기회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4. 성차별:
      -한국은 성별평등에 대한 발전을 이루었지만, 여전히 문화적 및 제도적 장애물이 있어 여성이 일과 가족을 균형있게 조절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많은 여성들은 직장 내 차별과 가족을 직업보다 우선시하는 사회적 압박 등으로 인해 아이를 낳는 것에 주저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출산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에는 재정 지원, 육아휴직 연장, 어린이 보육 지원 등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이 출산율 하락을 뒤집는 데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댓글